전기차충전, 비대면의료 등 신산업분야의 기술/시장동향 및 국내외 주요 플레이어 조사
‘증권사 리포트’ 기반의 조사 진행 필요
- 공유 퍼스털모빌리티
2. 조사방법
- 국내 증권사 리포트 기반 조사 정리(공개버전 외, 유료버전 중심 반영 필요)
3. 조사항목
- 시장동향 (해외, 국내)
- 기술동향 (국내외 공통)
- 주요플레이어 (해외, 국내)
국내최초 혈당 다이어트 ‘글루코핏’ Machine Learning Model 개발
Startup? 이제 고민하지 말고 일하며 Fit을 맞춰보는 Fit-work
2. 글루코핏의 Machine-learning Model 개발에 참여할 기회
- 현재 글루코핏의 개선점
: 혈당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센서의 비용이 높음
: 2주에 한 번씩 바꿔줘야 하는 소모성 기계로, 2주마다 10만원의 비용이 발생함
- 인공지능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포인트
: 첫 4주만 센서(센서 2개)를 부착하고 있으면 센서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모델을 학습하여,
이후에는 센서를 부착하지 않고 음식명만 입력해도 개인의 음식에 대한 혈당 반응을 예측한다.
3. (주)랜식은 어떤 회사인가?
- 국내 최고 액셀러레이터 Primer의 21기 선발 팀으로 의사출신의 대표이사가 제시하는 건강/다이어트 솔루션 기업
- 현재 글루코핏의 초기버전을 출시하여 성공적으로 성장중이며, 데이터기반의 개선모델 기획중
4. Fit-work란?
- 프로젝트 완료 후 스타트업과 참여자의 Fit에 따라 즉시, 혹은 추후에 합류/채용할 수 있는 기회를 서로 확보
*본 프로젝트는 진행과정에서 ‘Fit’을 맞춰보는 목적을 포함하며, 채용 및 합류에 대한 상호간의 의무는 없습니다.
5. 참여 및 진행 방식
국내 주요대한 석박사과정 학생을 포함하여 머신러닝 분야 연구자를 조사하는 일입니다.
조사된 연구자들에게 관련된 프로젝트 참여 및 자문을 요청할 계획입니다.
1. 조사대상
- 국내 이공계 대학원 5개 이상 (KAIST, 한양대, 성균관대 등), 총 조사인원 50명 이상
- 현역 대학원생(석, 박사과정) 및 졸업생 중 연구실 홈페이지에 이메일 주소가 공개되어있는 전문가
- 머신러닝 관련하여 연구분야, 논문 등 구체적인 키워드가 특정되어 있는 대학원생
2. 조사 방법
- 각 대학 연구실 홈페이지에 안내된 전문분야별 학생 정보
- 국내 논문, 학술지 등을 통해 관련분야 연구결과를 공개한 대학원생 연구자
3. 활용방안
- 머신러닝 업무 수요가 있는 스타트업과의 파일럿 프로젝트 기회 안내
- 본 조사는 ‘연구분야에서의 네트워킹 등을 목적으로 홈페이지와 논문을 통해 공개된 이메일주소’를 활용하여, 동일한 목적으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개인정보 보호법에 위배되는 일이 아니라는 법적 해석을 근거로 진행함
4. 결과물의 형태
- 학교, 학과, 연구실명, 성명, 이메일주소 (excel 파일로 제출)
“서비스R&D란?” :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 서비스 전달 체계의 개선, 제품과 서비스의 융합 등 서비스산업과 관련된 새로운 지식을 얻거나 응용하는 체계적이고 창조적인 활동을 말하며, 기술 개발, 비즈니스 모델 개발, 인문∙사회∙문화 측면에서의 연구개발 등을 포함하는 개념
2. 조사대상 국가
- 서비스 R&D 투자가 활발한 해외 주요국 (미국, EU, 독일, 핀란드, 일본 등)의 대표적인 프로그램 3개를 검색하여 해당 내용 정리
- 대상 국가는 일부 변경 가능함 (상기 독일, 핀란드를 유럽의 타국가로 전환 가능, 프랑스, 영국 등)
3. 조사대상 내용
- 서비스R&D 관련 정부지원 프로그램 (특정 정책이 아닌, 기업을 모집하고 연구비를 지원하는 형태의 프로그램단위 조사)
- 해당 프로그램의 ‘사업내용, 추진체계, 선정평가 절차, 지원방식’ 등 주요내용
4. 참고사항
- 첨부의 기존 연구보고서 2건 내 언급된 프로그램에 대한 최신 업데이트로 접근 가능
- (미) Service Enterprise Engineering(SEE) Program, Service Corps of Retired Executives (SCORE) Program
(EU) European Service Innovation Center (ESIC), (일본) Service Design Laboratory(?), AIST의 지원사업 등 우선 포함
5. 진행방식
- 5개 국가 중 1개에 대해 1차 작업 후 방향성 점검 → 컨펌 후 나머지 4개국 진행
앞에 게시된 BCI 관련 기술현황 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가 그룹을 도출하는 일로 국내 논문, 대학원, 연구과제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전문가 후보를 도출하는 일입니다.
이를 위한 업무의 범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산출물
→ 5번 목록 기준, 국내 박사과정~30대 연구자 이력정보 20명 이상(BCI 관련)
기술분야
→ 하단의 BCI 기술수준조사 내용 참고
[참고] NTIS 활용시 관련 연구과제 현황 조회 가능
"2025년엔 1조 달러…동남아, 간편결제 격전지될까"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동남아 간편결제 시장에 진출을 검토하는 국내 핀테크 스타트업의 조사업무입니다.
국내에서 흔히 쓰는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처럼 동남아 주요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간편결제 서비스 현황, 시장점유율, 결제규모 등을 조사하는 업무입니다.
이미 많은 보고서와 뉴스에서 동남아 간편결제 시장을 다루고 있는 만큼
관련 내용을 종합하여 정리하는 업무입니다.
2. 국가별 주요 간편결제 서비스 (Top 5) 현황
- Local service, global service 등
3. 동남아 간편결제 시장규모 조사
- 보고서, 뉴스 등 참조, 관련 reference 기록 요망
동남아 여행시 간편결제를 경험해보신 분이라면
관심있게 정리 부탁드립니다.
출시예정인 신규 간편결제 서비스 관련 보도자료
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5691
무인화된 로봇시스템, 드론기술이 연구되어 왔습니다.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는 인류의 미래기술을 예측하고 준비하기 위해 ‘대국민 미래과학기술 아이디어 오디션, #나는 미래다’를 개최하였고, 기술주제 중 하나로 바다에서 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유해물질을 수집/제거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는 물고기 형태의 수중드론이 선정되었습니다.
40년 후를 예측하는 공모전이다 보니 현재 기술수준과는 다소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지만
이를 준비하기 위해 현재의 기술수준에 대한 분석부터 시작하고자 합니다.
업무정의
- 해양 수중드론 관련 기반기술 분류 정의
- 기술분류 별 현재 기술수준 조사(최근 5년 내 발간된 Review paper 등 참고)
*관련하여 조사된 내용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것이 목적이며, 신규 논문검색을 통해 진행하는 수준의 큰 과업을 지향하지 않습니다.
*먼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방향성 확인 형태의 과업으로, 당장의 정교한 기술 차별성 등을 도출하는 목적이 아닙니다.
참여요건
- 수중 구동 가능한 기계 관련 전공자 (박사과정 학생 이상)
- 해양과학기술 관련 경험자 및 전공자
- 평소에 관련 분야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고 미래의 모습에 대한 관심이 있는 전문가
비용
- 본 과업은 위 두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비용이 산정되었으며
진행과정에서 추가되는 업무, 조사 등에 대해 별도의 비용을 협의하여 지급할 수 있습니다.
진행과정
- 참여자의 전문성 확인을 위해 프로필에 학과, 주요논문 정보를 업데이트 해주시면 선정하는데 참고하겠습니다.
- 참여자 선정 후 zoom으로 개략적인 내용 공유 후 진행예정입니다.
인간의 뇌에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술이 연구되어 왔습니다.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는 인류의 미래기술을 예측하고 준비하기 위해 ‘대국민 미래과학기술 아이디어 오디션, #나는 미래다’를 개최하였고, 기술주제 중 하나로 뇌의 정보를 추출하고, 복제하고, 저장하는 기술이 선정되었습니다.
40년 후를 예측하는 공모전이다 보니 현재 기술수준과는 다소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지만
이를 준비하기 위해 현재의 기술수준에 대한 분석부터 시작하고자 합니다.
업무정의
- BCI(Brain-Computer Interface) 관련 기술 분류
- 기술분류 별 현재 기술수준 조사(최근 5년 내 발간된 Review paper 등 참고)
*관련하여 조사된 내용을 수집하고 정리하는 것이 목적이며, 신규 논문검색을 통해 진행하는 수준의 큰 과업을 지향하지 않습니다.
*먼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방향성 확인 형태의 과업으로, 당장의 정교한 기술 차별성 등을 도출하는 목적이 아닙니다.
참여요건
- Brain engineering/science 관련 전공자 (박사과정 학생 이상)
- BCI 중 뇌자극을 통한 정보 입력, 뇌에서의 정보 추출 각 1명
- 평소에 관련 분야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고 미래의 모습에 대한 관심이 있는 전문가
비용
- 본 과업은 위 두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비용이 산정되었으며
진행과정에서 추가되는 업무, 조사 등에 대해 별도의 비용을 협의하여 지급할 수 있습니다.
진행과정
- 참여자의 전문성 확인을 위해 프로필에 학과, 주요논문 정보를 업데이트 해주시면 선정하는데 참고하겠습니다.
- 참여자 선정 후 zoom으로 개략적인 내용 공유 후 진행예정입니다.